-
728x90300x250
블루스는 장르로서 고유한 특성 있는데, 가사와 베이스 라인, 악기에서 볼 수 있다. 초기 전통적인 블루스 벌스에선 한 문장의 가사를 4번 반복해서 불렀다. 이것은 현재 구성이 일반화 되기 전 20세기 초 형태다. 초기 블루스(컨트리 블루스)는 해방 흑인의 비참한 생활 환경, 인간적인 슬픔, 고뇌, 절망감 등이 드러나 있고, 대부분 본인과 관련한 일련의 사건이나 경험, 그리고 아프리카-아메리칸 사회를 이야기하고 있다.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길거리 술집이나 시장터 축제에서 연주하는 블루스맨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퍼졌고, 독특하게 느린 블루스 리듬은 백인에도 널리 퍼져 많은 춤 곡이 나왔으며, 그러한 음악과 춤에도 블루스라는 이름이 붙었다.블루스가 부각되기 시작한 건 19세기 말이다. 초기 블루스 스타일은 컨트리 블루스와 대개 솔로 가수가 직접 기타, 피아노 연주를 하고, 가끔 하모니카와 드럼을 같이 연주를 했다. 당시 잘 알려진 컨트리 블루스 뮤지션으로는 레드 벨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로버트 존슨 등 있다.
블루스(영어: Blues)는 19세기 중엽, 미국 노예 해방 선언 이후 미국으로 넘어온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1]들이 창시한 장르[2] 혹은 음악적 형태를 말한다. 이 장르는 아프리카 전통 음악과 노동요,[3] 그리고 유럽계 미국인의 포크송을 뿌리로 두는데, 구체적으로 스피릿튜얼스, 노동요, 필드홀러, 링 샤우트, 찬트, 그리고 리듬이 간단하고 경험을 풀어낸 발라드 등이 합쳐져 개인이 부르는 노래로 바뀌어 블루스가 되었다고 한다. 블루스 형식은 재즈, 리듬 앤 블루스, 로큰롤에서도 볼 수 있는데, 주고 받기 형식(Call and Response), 블루스 스케일을 이용한 여러 코드 진행, 두 박자 또는 네 박자의 12마디로 진행하는 블루스가 일반적이며 장조와 단조가 뚜렷하지 않다. 블루 노트는 보통 3도, 혹은 5도 플랫한 음을 말하는데, 이 음들은 블루스에서 가장 중요한 소리다. 블루스 스케일, 블루스 노트, 셔플 블루스, 혹은 워킹 베이스를 포함해 우리가 아는 그루브가 생겼다.블루스라는 말이 노래에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은 1890 ~ 1900년대 초이지만, 어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그 중 아프리카인의 장례 의식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블루 데빌스(Blue Devils)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현재 가장 신빙성이 있는 것은 블루 데빌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다.블루 데빌스는 우울과 슬픔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 말은 조지 콜먼(George Colman)의 원맨 광대쇼 〈Blue Devils〉 (1798)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17세기 영국의 표현 중 "강렬한 시각적 환각을 동반한 심한 알코올 금단 증상intense visual hallucinations that can accompany severe alcohol withdrawal"이란 용어를 줄여 블루 데빌스라 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시간이 흘러 블루만 남아 블루스(Blue Devils)가 되었고 불안 상태 혹은 우울한 상태를 뜻하는 말로 바뀌었다. 19세기 미국에선 블루스는 취하다란 속어로 쓰였다. 이러한 뜻을 가진 블루스와 음주(drinking)가 합쳐져서 '블루 법Blue laws'이라는 것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블루 법은 아직도 몇몇 미국의 주에서 시행되는 일요일 알코올 판매 금지 법이다
형식-블루스는 음악적으로 따지면 독특한 방식을 보유하고 있다. '도레미파솔라시도'의 7음 가운데 미와 시가 반음 내려가고 (b), 파는 반음 올라가 (#), 3음이 블루지한 상태를 보인다. 그러나, 그것도 정확히 반음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이 아닌 피아노로는 어려운 미분음의 개념이다. 이 반음 가까이 낮아지는 음을 블루 노트라고 한다. 또한 코드 진행상 '도미넌트 코드 (Ⅴ)' 앞에 '서브 도미넌트 코드(Ⅵ)' 가 위치하는 일반 패턴과 달리, 도미넌트가 서브 도미넌트를 앞선다. 또한 '도레미파솔라시도' 가 아닌 '도시라솔파미레도'의 순으로 높은 음에서 내려오는 이른바 하행 선법이다. 여러모로 클래식이 확립해놓은 양식과 개념에서 일탈해있는 음악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블루스의 탄생 배경에서 '흑인 노예' 및 '목화 밭에서의 노동'이라는 점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흑인 노예란 피압박 인종을 뜻하며, 목화 밭에서의 노동이라는 것은 블루스가 노동가, 혹은 노동민중의 가요임을 알려준다.블루스 선법이 다른 것도 실은 여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억압받는 사람의 소리이기에 거기엔 '저항의 요소'가 내재해 있다. 분위기와 자극이 가해지면 일시에 분출하고야 마는 폭발성이 있다. 백인들은 드럼을 금지시키는 대신, 내키는 대로 노래하는 흑인들에게 순종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에서 유럽 스타일의 음악을 가르쳐주었다. 오늘날 가장 기본이 되는 12마디 가사 구성의 블루스 구조는 4/4박자의 일반적인 12마디 하모닉 진행이라 볼 수 있다. 12마디 블루스에서 코드 조합은 대개 3가지의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12마디를 연주한다.그당시 사람들이 코드에 로마 숫자를 매겨 음도를 표시했는데, 예를 들어 C키 기준으로 C는 토닉 코드 (I, 1도), F는 서브도미넌트 (IV, 4도), G는 도미넌트 (V, 5도)라 한다. 진행상 마지막 코드인 도미넌트 (V, 5도)는 턴어라운드, 즉 다음 진행의 처음으로 가기위한 발판으로 쓰일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10번째 마디의 마지막 박자(1마디 4박자 기준으로 4번째), 혹은 11번째 마디의 첫박자(1마디 4박자 기준으로 1번째) 쓰인다.스케일을 설명하기 전, 나란한조를 설명해야한다. 나란한조는 메이저와 마이너 스케일 사이의 거리가 b3, 단3도 관계이면 나란한 조라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 메이저에서 먼저 3도를 내린다. 그러면 Ab이 되는데, 구하는 건 단3도이므로 반음을 올려준 A, 즉 C 메이저의 나란한조는 A 마이너가 된다.
역사-처음 발매된 블루스는 1908년 안토니오 마지오의 〈I Got the Blues〉이다. 그 뒤를 이어 하트 반드의 〈Dallas Blues〉가 1912년 발매되었고, W.C. 핸디의 〈Memphis Blues〉가 같은 해에 나왔다. 처음으로 녹음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수는 마미 스미스, 1920년 페리 브래드포드의 〈Crazy Blues〉이다. 하지만 블루스 기원은 10년 전쯤 일찍인데, 1890년도 정도로 추정된다.[13] 블루스는 미국 남부 목화 농장의 노예들로부터 시작된다. 남북전쟁 이후, 농장에서 흑인 노예들에 의해 불리었던 할러, 혹은 노동요로 불리는 음악들은 농장제가 없어지면서 동시에 소멸되었지만, 아프리카적 요소들을 고스란히 도입하고 있던 이러한 음악들이 민스트럴 쇼, 교회에서 불리던 복음성가 등과 합쳐지면서 렉타임, 부기우기 등으로 발전 되었고, 블루스의 원류를 형성하는 음악이 된 것이다. 따라서 블루스는 본질적으로 아프리카적 미국 음악이다. 그리고 블루스가 완전한 형태를 이룬 것 역시 농장제의 와해와 맞물린 19세기 후반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오늘날 블루스의 기본적인 형태인 12마디 블루스 역시 이 시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지만, 당시에 주로 쓰이던 형태는 12마디 블루스가 아닌, 8마디 블루스가 2번 나열되는 형태였다.블루스는 20세기 초, 남부 텍사스와 미국 남부에서부터 기록되기 시작된다. 찰스 피바디가 블루스는 미시시피의 크락스데일에서 나타났다 하고, 게이트 토마스는 1901~1902년 사이 남부 텍사스에서 매우 비슷한 노래가 나왔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말을 조합하면 어느 정도 일치하긴 하는데, 젤리 롤 모튼의 기억에 의하면 1902년 뉴올리언스에서 처음으로 블루스를 들었다 한다. (마 레이니, 그녀 또한 같은 해에 미주리에서 처음으로 블루스를 접했다고 한다.) 그리고 W.C. 핸디 또한, 블루스를 1903년 미시시피의 트월러에서 들었다고 하는데, 그의 감상평은 이러했다. "살면서 들은 것 중 제일 이상했던 음악이었다. The weirdest music I had ever heard."[14] 처음으로 이것에 대해 광범위한 조사를 시작한 사람은 하워드 W. 오덤인데, 1905년에서 1908년 사이에 미시시피의 라파예트, 조지아의 뉴톤 카운티에서 방대한 포크 노래를 출판한 사람이다.[15] 첫 번째 비상업적 목적의 블루스는 폴 올리버의 〈Proto-Blues〉인데, 이것을 오덤이 20세기 초 연구 목적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전부 소실되었다.블루스가 나타나게 된 경제적, 사회적 이유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22] 첫 출현 시기를 보통 1870~1900년대 중 노예 해방 선언 이전, 혹은 주크 조인트가 생겨난 뒤라고 생각한다.[23] 이 시기들은 과도기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시기에 노예제도를 통한 노역, 작은 규모의 농업생산, 미국 남부에서 기차길이 확장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몇몇 학자들은 1900년대 초반에 그룹의 의견보다는 개인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어 블루스가 발전된 것을 특징이라 본다. 그들의 사회 속 불만을 이용해 만들어진 블루스의 발전은 근대에 이루어진 노예 해방 선언과 연관되어 있다."there wa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ideological emphasis upon the individual, the popularity of Booker T. Washington's teachings, and the rise of the blues.""개인에 대한 국가적 이념 강조와 유명한 부커 T. 워싱턴의 가르침, 블루스가 떠오르게 된 것, 모두 서로 직접적인 연결이 있었다."
블루스와 재즈-블루스와 재즈는 자주 논쟁거리로 언급된다. 많은 사람들은 재즈가 블루스에서 파생되었다고 보거나, 재즈가 블루스의 시초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둘다 사실이 아니다. 블루스와 재즈는 마치 형제처럼 같이 양옆에서 자랐다. 블루스는 재즈의 기초 형성에 도움을 주었고,재즈 혹은 블루스는 어느쪽에서든 파생되지 않았다.정의로 구분짓자면, 블루스는 음악적 형태와, 장르, 재즈는 음악적 예술 형태이다. 블루스는 코드 진행과 장르를 이 안에서 만들었다고 확신할 수 있지만, 재즈는 이것을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19세기의 렉타임과 모던 퓨전 음악을 전부 포함하고 있어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이다. 블루스와 재즈는 이러한 점에서 차이점들이 있지만, 사실 공통점이 많다. 둘다 미국 남부 (Deep South)와 19세기 말에 만들어졌다. 블루스는 아프리카-아메리칸 그들의 노동요, 스피릿튜얼스, 필드 찬트 그리고 할러에서 왔다. 또한 특징인 코드 진행, 플랫, 혹은 밴드 노트, 블루 노트, 그리고 슬프고 우울한 가사가 있다. 재즈도 마찬가지로 남부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부터 나왔지만, 결과적으로 아프리카와 유럽 음악이 섞였다.재즈 초기 당시 유명한 음악으로 인정받았고, 특색으로 블루 노트, 즉흥연주, 싱코페이션(당김음, 흔히들 싱코라고 하는 이것은 어울리는 한도 안에서 박자를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스윙 노트'를 알렸다.재즈는 초기 뉴올리언스 딕시랜드, 스윙 시대의 빅 밴드 음악, 비밥, 라틴 재즈, 퓨전, 에시드 재즈, 펑크, 힙합, 그리고 당연히 블루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미국의 30년대는 대공황과 2번에 걸친 세계대전으로 수백만 명의 흑인들이 남부를 떠나 북부 도시로 이동하게 되자, 블루스는 좀 더 넓은 지역으로 펴져나갔고, 도시 환경에 적응하게 되었다. 가사에도 도시풍의 주제가 사용되었고, 블루스 밴드들은 블루스 가수 외에도 피아니스트, 하모니카, 베이스, 드럼으로 구성된다. 블루스는 처음엔 앨틀랜타, 멤피스, 세인트루이스에 맨 처음 정착되고, 그 후에 시카고와 뉴욕, 디트로이트 등지로 퍼져나가게 된다.
1940년대-1931년 일렉기타가 발명되고, 레스 폴, 로니 존슨, 시스터 로제타 타프, T-본 워커 (T-Bone Walker), 그리고 재즈 기타리스트 찰리 크리스천에 의해 일렉트릭 기타가 도입된 이후, 1950 ~ 60년대부터 일렉기타는 팝 뮤직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가 된다. 이 시기부터 블루스 역시 일렉트릭 기타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는데, 티본 워커에 의해 블루스로 도입된 일렉트릭 기타의 사용은 대규모 콘서트 홀에서의 연주가 많아지기 시작한 블루스맨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고출력 엠프를 동반한 일렉트릭 기타의 사용은 단지 사용되는 악기만 변화시킨 것이 아니었다. 과거 어쿠스틱 기타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일렉트릭 기타만의 독특한 주법들이 사용되기 시작되었고, 본격적으로 모던 블루스의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기 때문이다.
1950 ~ 60년대-대중음악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 블루스의 가장 큰 역할은 바로 "록 음악의 탄생"에 관한 것이었다. 1950년대 후반, 블루스의 성장과 함께 백인들이 블루스를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블루스 음악을 백인들의 취향에 맞게 가공하면서 록 음악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데, 블루스의 성장과 록 음악의 탄생이 이뤄진 곳은 블루스의 발상지인 미국이 아닌 대서양 건너 영국 땅 이었다. 한편, 머디 워터스와 같은 블루스 열풍이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빅 빌 브룬지와 윌리 딕슨은 유럽에 새로운 시장을 찾기 시작했고, 딕 워터맨과 그가 유럽에서 만든 블루스 페스티벌은 영국에서 블루스가 유명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영국안에서, 밴드들은 전설적인 미국 블루스들을 따라하기 시작했고, 록을 기반으로한 영국 블루스 밴드는 1960년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브리티시 록과 아메리칸 록-영/미의 블루스 록은 거의 같은 기초 위에서 출발했지만 전성기를 맞이했을 때에는 이미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영국과는 달리 60년대의 미국은 반전, 반정부적인 색채의 사회사상이 무르익고 있었다. 따라서 히피를 연상시키는 당시의 아메리칸 블루스 록은 영국의 신사적인 블루스보다 더욱 싸이키델릭한 사운드에 근접해 있다. 반면에 영국의 블루스 록은 싸이키델릭적 요소 이전에 자국의 록을 형성해온 전통적인 브리티쉬 스타일에 기초한 것이었다. 비틀즈, 롤링 스톤스, 애니멀스 등을 배출해 낸 탄탄한 기초 위에 영국의 블루스 록은 체계적이고 정당화된 힘을 지니고 있었다.따라서 미국의 블루스 록이 60년대의 록 정신에 충만한 사운드였다면, 영국의 그것은 보다 필은 자국의 안정된 사운드로부터 유래한 것이었다. 영국의 블루스 록이 보다 완성적이고 담백할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외형적인 결함으로 아메리칸 블루스 록의 사상을 외면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미국의 싸이키델릭 블루스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회 참여 의식과 저항의 횃불을 간직하고 있었고, 또 그것이 60년대 대중 음악사의 얼굴이었기 때문이다.블루스 록이 전성기에 달했을 때 영국과 미국의 사운드는 대서양을 넘어, 단합과 자유의 함성 속에서 융합되기 시작한다. 이후 60년대가 지나가고 70년대 초반을 넘어섰을때 진정한 의미의 블루스 록은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세계 음악에 끼친 영향-블루스의 음악적 스타일, 형태, 멜로디, 스케일등은 많은 장르의 음악에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면 로큰롤, 재즈, 그리고 대중음악에게도 영향을 끼쳤다.[43] 유명한 재즈, 포크 혹은 록 뮤지션인 루이 암스트롱, 듀크 엘링턴, 마일스 데이비스, 밥 딜런과 같은 인물들이 블루스 음악을 연주, 녹음할 때 말이다. 블루스 스케일은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대중음악에선 해롤드 알렌의 〈Blues in the Night〉, 블루스 발라드에선 〈Since I Fell for You〉, 〈Please Send Me Someone to Love〉 등 심지어 조지 거시윈의 〈Rhapsody in Blue〉, 〈Concerto in F〉와 같은 오케스트라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거시윈의 두번째 솔로 피아노 전주곡은 아예 클래식 블루스에서 영감을 받고, 전통화성학으로 완성시켰다. 블루스 스케일은 현대 음악 어디에나 존재하며, 많은 장르 안에 분포하고있고, 5도 코드(파워코드)를 사용한 록 음악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면 비틀즈의 〈A Hard Day's Night〉가 있다). 블루스의 기본틀은 배트맨의 테마곡이고 당시 10대 아이돌이었던 파비안 포르테가 부른 히트곡 〈Turn Me Loose〉, 컨트리 음악의 신 지미 로저스, 그리고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인 트레이시 채프먼의 히트곡 〈Give Me One Reason〉에도 사용되었다.반응형'문화.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 최정원 불미스러운 일이 있어서 반박 (0) 2023.01.10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더 글로리 감상후기 (4) 2023.01.07 조커 2019년의 영화 리뷰 (2) 2022.12.02 로드 (가수) (0) 2022.10.29 나카모리 아키나 (1) 2022.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