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1. 16.

    by. 멀티 존

    728x90
    300x250

    플레이스테이션 3(영어: PlayStation 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가 2006년 발매한 세 번째 가정용 게임기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 360, 닌텐도의 Wii와 경쟁하였다. 이전 제품에서 온라인 플레이 기능을 비디오 게임 개발사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것과 다르게 통합 온라인 게임 서비스인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서비스를 발매와 함께 시작해 제공하고 있으며, 탄탄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과의 연결, 고화질 광학 디스크 포맷인 블루레이 디스크 재생 기능 등의 기능을 갖추었다. 2006년 11월 11일에 일본에서 처음으로 발매되었고 해 11월 17일에는 북미 지역 3월 23일에는 유럽과 오세아니아 지역 경우 그해 6월 5일부터 일주일간 예약판매를 실시하였고 준비한 수량이 동이 나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6월 16일 정식 발매 행사를 열었다.


    -역사-
    플레이스테이션 3의 존재는 2005년 5월 1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개최된 Electronic Entertainment Expo(이하 E3)에서 처음 알려졌다. 이 때는 시험 제품으로 공개되어 본체의 디자인은 초기 플레이스테이션 3과 많은 변화는 없었지만 접속 단자 부분에서 섬세한 차이가 있었다. 또 컨트롤러는 부메랑 형태의 디자인으로 공개되었다. 2006년 5월에 개최된 E3에서 정식 디자인과 가격 발표와 함께 11월 중순으로 발매를 연기한다. 발매 모델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용량이 20GB와 60GB 두 가지로, 두 제품 사이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 이외에도 차이가 있었다. 당초는 20GB 모델은 HDMI 단자는 탑재하지 않기로 되어 있었으나 HDMI 단자를 쓰는 텔레비전이 시장에 많이 출시되면서 뒤늦게 탑재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발매 2개월 전인 2006년 9월, PAL 지역(유럽 일부, 러시아, 중동,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발매 날짜가 여러 번 연기되었다. 이유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읽는 데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생산 계획이 늦게 나와서이다. 또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미국 지사의 최고 경영 책임자가 “북미 지역에서는 2007년 4월 또는 5월쯤이면 재고를 충분히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일본이나 북미 지역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그 영향으로 일본에서는 초기 출하량이 8만 대 정도로 머물렀다. 2007년 11월 11일에는 40GB/CECHHxx 모델이 일본 시장에 투입되었다. 2009년 9월에는 내부 부품 개량으로 경량·박형화를 이루어낸 120GB/CECH-20xx 모델이 250GB 모델이 발매되었다. 2012년 10월에는 새로운 디자인과 가벼워진 신형 제품 CECH-40xx 250GB/500GB 제품이 발매되었다.


    -사양-
    CPU: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와 IBM, 도시바가 공동 개발한 파워 아키텍처 기반의 64비트 RISC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셀 브로드밴드 엔진(Cell Broadband Engine)을 채용했다. 1개의 PPE(파워 프로세서 엘리먼트, Power Processor Element)와 8개의 SPE(시너지 스틱 프로세서 엘리먼트, Synergistic Processor Element)로 구성된 멀티 코어 CPU이다. SPE는 개별 256KB의 대용량 로컬 메모리를 갖고 있으며 8개 중 1개의 SPE는 여분의 부동소수점 연산을 위해 따로 배정돼 있다. 다른 하나는 SPE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예비용으로 배정되어 있어 실제로 사용하는 SPE는 총 6개이다.
    GPU:
    GPU는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RSX Reality Synthesizer를 사용한다. RSX는 엔비디아의 PC용 VGA 지포스(GeForce) 7800 GTX의 GPU를 기반으로 해 Flex I/O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PS3 전용 GPU이다. 7800 GTX와 버텍스 레이더 수(8개), 픽셀 레이더 수(24개)가 같지만, 동작 주파수(7800 GTX:430 MHz, RSX:550 MHz), VRAM 인터페이스(7800 GTX:38.4GB/s(256bit), RSX:22.4GB/s(128bit)), CPU 인터페이스(7800 GTX:8 GB/s, RSX:35GB/s), ROP 유닛(7800 GTX:16개, RSX:8개)이 다른 부분도 있다. SCE에서는 RSX의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당초 1.8 TFLOPS로 발표했지만 정확한 수치는 아니다. 출력 해상도는 최대 1920×1080픽셀의 완전 HD 표시가 가능하고, 프로그레시브 표시도 지원한다.


    냉각·소음·소비 전력:
    40GB 모델에서는 셀 CPU에 65 nm 칩세트를 사용하여 발열과 소음을 줄였다. 80GB 모델에서 RSX도 65 nm 칩세트가 사용되어 더욱 발열과 소음이 줄었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세로로 세워 쓰는 편이 열이 더 잘 빠져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CECH-2000A에서는 45 nm CPU를 사용하고(RSX는 65nm로 변동 없음), 250W 파워로 바뀌었다. 고속의 CPU/GPU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은성과 냉각을 두 가지 모두를 확보하기 위해서 대형 히트 싱크와 16 cm 팬을 탑재했다. 최대 소음은 36 dB(40GB 모델은 30 dB)라고 밝히고 있다. 최대 소비전력은 380W(40GB 모델은 280W)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것은 전원 용량으로 XMB 상태에서 약 165~170W(40GB 모델 약 130~132W), 블루레이 비디오 재생 시에는  170~174 W(40GB 모델 약 134 ~ 137 W), 게임은 약 170~197 W(40GB 모델 약 142 ~ 158 W)를 소비한다. CECH-2000A의 경우, XMB 상태에서 약 76W, 블루레이 비디오 재생 시에는 약 83W, 게임은 약 81 ~ 101W를 소비한다.


    메모리:
    메인 메모리에는 미국 램버스사가 개발한 차세대 메모리 256MB XDR DRAM을 채용했다. I/O 인터페이스는 램버스사의 FlexIO 기술을 채용하여, HD 품질의 고정밀 이미지를 실시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 속도를 실현하고 있다. XDR 메인 메모리는 CPU와 직접 연결되어 있고, GDDR 3 비디오 메모리는 GPU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나, NUMA(Non-Uniform Memory Access) 아키텍처를 사용, CPU와 GPU가 상대방의 전용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리:
    소리 처리는 주로 SPE가 담당해, 모두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처리한다. PS3의 게임 타이틀에서는 최대 리니어(Linear) PCM 7.1 ch 출력까지 지원하며 Dolby Digital 5.1 ch의 실시간 인코딩을 지원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에 채용된 무손실 오디오 코덱은 돌비 트루 HD와 DTS-HD Master Audio를 리니어 PCM으로 변환해 출력한다.


    블루레이 디스크:
    PS3는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채용했다. 차세대 미디어 규격 싸움에서 블루레이 진영의 강력한 힘이 되어, HD-DVD를 몰아내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29] 용량 8.5 GB(듀얼 레이어)의 DVD와 달리, 큰 용량의 블루레이 디스크는 게임을 개발하면서 기록 용량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게임에 따라서는 DVD로 용량은 충분하지만, 저작권 보호 등을 고려해, 모든 작품이 블루레이 디스크를 채용하고 있다(PSN으로 배포하는 게임 제외). PS3는 BD-ROM 외에 BD-R와 BD-RE의 읽기도 가능하며 CPRM·AACS도 지원한다.


    컨트롤러:
    PS3 초기 컨트롤러인 ‘SIXAXIS’(식스 액 시스)의 형태는 듀얼 쇼크 2와 거의 같지만, 진동 기능과 관련된 명칭은 폐지되어 모션 센서(6축 검출 시스템)의 축수에서 따온 새로운 명칭이 사용되었다. 블루투스 무선 접속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은 케이블이나 멀티탭 등의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되어 컨트롤러를 통해 본체 전원을 켜는 것도 가능해졌다. 또, USB 케이블로 유선 접속과 급속 충전이 가능(충전은 본체가 켜져 있을 때만 가능). 처음 사용할 때는 USB로 PS3 본체에 연결해 가운데 PS 버튼을 눌러 페어링(블루투스 호환 기기를 서로 연결)해야 한다.


    네트워크:
    10 BASE-T, 100B ASE-TX, 1000B ASE-T를 지원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20GB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은 IEEE 802.11 b/g 규격 무선랜도 지원한다. 특히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과 네트워크로 연결해 PS3의 화면을 변환하여 전송해 PSP에서 PS3를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인 리모트 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게임과 기능 설명-
    일본의 경우 5개 타이틀이 지역에서는 14개 타이틀이 발매와 함께 출시되었고 말까지 일본에서는 8개 타이틀이, 북미에서는 3개의 타이틀이 더 출시되었다. 북미에서 발매 첫 주 가장 많이 팔린 PS3 게임은 《레지스탕스: 인류 몰락의 날》 게임스팟이나 IGN 같은 유명 비디오 게임 웹사이트에서 PS3 부문 올해의 게임(GOTY) 상을 받기도 했다. 《소니가 더 헤지호그》나 《엘 거 스크롤 4: 오블리비언》 등 몇몇 타이틀은 발매와 함께 발매되지 못하고, 2007년 초로 미뤄져 발매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발매 직후 《잇지 레이서 7》이 가장 많이 팔린 것으로 집계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비추어 파이터 5》, 《콜 오브 듀티 3》 등 15종의 타이틀이 발매와 함께 출시되었다.PS3 전용 게임부터 온라인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나 체험판, 게임 아카이브(Archive)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플레이할  있다. PS3 게임의 대부분은 지역 제한이 없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PS3 규격 소프트웨어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동작 보증은 하지 않고 있다. [55] 극히 일부의 소프트웨어가 일본제 PS3 모델 외의 기동이 불가하다. 영화 등의 블루레이 비디오에는 3개의 지역이 설정되어 있다. PS/PS2 규격 소프트웨어도 지원하고 있다. PS 규격 소프트웨어의 경우 소프트웨어에 의한 에뮬레이션으로 동작해 모든 모델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PS2 소프트웨어는, 모델에 따라서 다르지만 레벨, 혹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편성에 의해 호환 기능을 실현하고 있었으나, 2007년 발매의 40GB/CECHHxx 모델부터는 PS2 호환 기능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플레이 스테이션3의

    사양과 게임에 대해 설명해요"

    읽어 주셔서 감사해요!

    반응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독립전쟁 배경과 결과  (0) 2022.11.20
    프랑스 혁명의 배경 전개와 영향  (0) 2022.11.20
    와트 타일러의 난  (0) 2022.11.09
    뮌헨 폭동  (0) 2022.11.08
    커피의 역사  (0) 2022.11.05